마이어스의 심리학/학습 마이어스의 심리학/학습 2019. 12. 31. 달마 [심리학_학습] 생물학적 소인, 인지 그리고 학습 생물학적 제약은 어떻게 파블로프식 조건 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파블로프식 조건 형성 원리들은 생물학적 소인의 제약을 받기 때문에, 어떤 연합의 학습은 다른 연합의 학습보다 더 용이하다. 학습은 적응적이다. 즉, 각 동물종은 생존에 도움을 주는 행동을 학습한다. 생물학적 제약은 조작적 조건형성에도 작동한다. 생물학적 제약을 벗어나는 행동을 하도록 훈련시키는 것은 동물들이 생물학적 소인을 가지고 있는 행동 패턴으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지속적이지 못하게 된다. 인지과정은 어떻게 파블로프식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파블로프식 조건형성에서 동물은 US가 나타날 시점을 학습하고 자극과 반응 간의 연계를 자각하기도 한다. 조작적 조건 형성에서는 인지도와 잠재학습 연구가 학습에서.. 마이어스의 심리학/학습 2019. 12. 30. 달마 [심리학_학습] 조작적 조건형성 조작적 조건 형성이란 무엇인가? 조작적 조건형성에서는 강화가 뒤따르는 행동이 증가한다. 처벌자극이 뒤따르는 행동은 감소하기 십상이다. 스키너는 누구인가? 어떻게 조작행동을 강화하고 있는가? 스키너는 학부에서 영문학을 전공하였으며, 나중에 심리학을 전공하고자 대학원에 입학한 포부가 대단한 작가였다. 그는 오늘날 행동주의에서 가장 영향력이 크고 논란의 대상이 된 인물이 되었다. 에드워드 손다이크의 효과의 법칙을 확장한 스키너 등은 조작싱(스키너상자)에 집어넣은 쥐나 비둘기의 행동을 원하는 행동으로 조금씩 접근하도록 만드는 강화물을 사용하여 조성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정적 강화와 부적 강화는 어떻게 다른가? 강화물의 기본 유형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강화는 행동을 강력하게 만드는 결과이다. 정적 강화.. 마이어스의 심리학/학습 2019. 12. 28. 달마[심리학_학습] 학습의 기본개념과 파블로프식 조건형성 학습이란 무엇인가? 학습의 기본형태는 어떤 것인가? 학습은 새로우며 비교적 지속적인 정보나 행동을 획득하는 과정이다. 연합학습에서 우리는 특정사건들이 함께 발생하는 것을 학습한다. 파블로프식 조건형성에서는 둘 이상의 자극을 연합시키는 것을 학습한다. 인지학습을 통해서는 행동을 이끌어가는 심적 정보를 획득한다. 예컨대, 관찰학습에서는 사건을 관찰하고 다른 사람을 지켜봄으로써 새로운 행동을 학습한다. 학습에 대한 행동주의의 견해는 무엇인가? 조건형성에 대한 파블로프의 연구는 행동주의의 초석을 놓았다. 행동주의란 심리학이 심적과정을 참조하지 않으면서 행동을 연구하는 객관적인 과학이 되어야 한다는 견해이다. 행동주의자는 학습의 기본 법칙들이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종에게서 동일하다고 생각하였다. 파블로프는 누구..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