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기와 아동기에 두뇌와 운동기술은 어떻게 발달하는가?
두뇌 뉴런들은 유전과 경험이 만들어 간다. 아동의 두뇌가 발달함에 따라서 신경연결은 다양하고 복잡하게 늘어난다. 그런 다음에 경험이 가지치기 과정을 촉발하여, 사용하지 않는 연결은 약화시키고 집중적으로 사용하는 연결은 강화시킨다. 이 과정은 사춘기까지 계속된다. 아동 초기는 두뇌를 조성하는 중요한 시기이지만, 두뇌는 일생에 걸친 학습에 대한 반응으로 자체적으로 수정해간다. 아동기에 앉기, 서기, 걷기 등과 같은 복잡한 운동기술은 예측 가능한 순서대로 발달한다. 물론 그러한 순서의 출현시점은 개인의 성숙과 문화의 함수이기는 하다. 우리는 대략 3.5세 이전에 일어난 사건들을 의식적으로 기억해낼 수 없다. 부분적으로는 주요 두뇌영역들이 아직 성숙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피아제와 비고츠키 그리고 오늘날 연구자들의 관점에서 볼 때, 아동의 마음은 어떻게 발달하는 것인가?
장 피아제는 자신의 인지 발달 이론에서 아동은 동화와 조절이라는 과정을 통해서 세상에 관한 이해를 적극적으로 구축하고 수정해나간다고 제안하였다. 아동은 자신의 경험을 조직하는 것을 도와주는 스키마(도식)들을 형성한다. 대상영속성(대상이 눈에 보이지 않아도 존재한다는 것을 인지하는 것)을 발달시키는 처음 두 해의 감각운동 단계를 거쳐, 아동은 보다 복잡한 사고방식으로 넘어간다. 전조작 단계(대략 2~6세, 7세까지)에서 아동은 마음 이론을 발달시키지만, 자기중심적이고 단순한 논리적 조작도 수행하지 못한다. 대략 7세가 되면, 구체적 조작 단계에 접어들어서 보존원리(사물의 모양이나 크기가 달라져도 그 질량, 부피가 그대로 남아있음을 이해하는 것)를 이해 할 수 있다. 대략 12세경이 되면, 형식적 조작 단계에 접어들어서 체계적으로 추리할 수 있다.
연구들은 피아제가 제안한 순서를 지지하지만, 아동은 피아제가 생각하였던 것보다 더 유능하며 발달은 더 연속적이라는 사실도 보여준다.
아동발달에 관한 레프 비고칔의 연구는 아동의 마음이 사회 환경과 상호작용을 통해서 성장하는 방식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의 견해에 따르면, 부모와 보호자가 아동으로 하여금 상위 수준의 학습으로 올라갈 수 있는 시간적 받침대를 제공해준다.
자폐스펙트럼장애란 무엇인가?
자폐스펙트럼장애(ASD)는 사회성 결손과 반복적 행동이 특징인 장애이다. 오늘날 8세가 된 미국 아동68명 중 1명이 ASD로 진단받는데, 보고된 비율은 지역에 따라 다르다. ASD 진단의 증가는 '인지장애'나 '학습장애'를 나타내는 아동의 수가 감소하는 것과 맞물려왔는데, 이 사실은 아동 장애에 다른 이름을 붙인 것임을 시사한다.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2458717&memberNo=17327566
부모 - 유아 애착의 유대는 어떻게 형성되는 것인가?
대상영속성이 발달한 직후인 대략 8개월경에 보호자와 분리된 아동은 낯가림을 나타낸다. 유아가 애착을 형성하는 까닭은 부모가 단지 생물학적 욕구를 만족시켜 주기 때문이 아니라, 안락함을 제공해주고 친숙하며 반응을 해주기 때문이다. 오리를 비롯한 다른 동물들은 결정적 시기에 발생하는 각인이라 부르는 경직된 애착 과정을 나타낸다.
심리학자들은 애착의 차이를 어떻게 연구해왔으며, 알아낸 것은 무엇인가?
애착은 낯선 상황 실험에 연구해왔는데, 이 실험들을 보면 어떤 아동들은 안정적으로 애착하고 다른 아동들은 불안정 애착을 보인다. 유아의 애착 스타일은 개인의 기질 그리고 부모나 보호자의 반응성 모두를 반영한다. 성인들의 관계도 아동 초기의 애착 스타일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사실은 유아기에 반응적인 보호자와의 경험을 통해서 기본 신뢰를 형성한다는 에릭 에릭슨의 생각을 지지해준다.
아동기 방치나 학대는 아동의 애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아동은 매우 탄력적이지만, 아동초기에 부모가 심각하게 방치하거나 어떤 방식으로든 애착형성이 차단된 아동은 애착 문제를 일으킬 위험성에 처하게 될 수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VE9jfn6pua0
https://www.youtube.com/watch?v=NkjVlLdFztw
아동의 자기개념은 어떻게 발달하는가?
자신이 누구인지를 이해하고 평가하는 자기개념은 점진적으로 출현한다. 생후 15~18개월의 아동은 거울 속의 모습을 자신으로 재인한다. 학령기가 되면 자신의 많은 특질들을 기술할 수 있으며, 8~10세가 되면 자기 이미지가 안정된다.
세가지 양육 스타일은 무엇인가? 아동의 성격특질은 이 스타일들과 어떤 관련이 있는가?
권위주의적, 허용적, 권위적 양육 스타일은 통제의 정도를 반영한다. 자존감이 높은 아동은 궈위적 부모를 갖는 경향이 있으며, 자기의존적이고 사회적으로 유능한 경향이 있지만, 이 관계에서 인과성의 방향은 명확하지 않다. 자녀양육 방식은 개인적 가치관과 문화적 가치관 모두를 반영한다.
'마이어스의 심리학 > 일생에 걸친 발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마 [심리학_일생에 걸친 발달] 성인기 (0) | 2020.01.03 |
---|---|
달마 [심리학_일생에 걸친 발달] 청소년기 (0) | 2020.01.02 |
달마 [심리학_일생에 걸친 발달] 발달의 주요 논제, 출생 이전 발달 그리고 신생아 (0) | 2020.01.02 |